[혈소판 지정헌혈을 긴급으로 부탁드립니다]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혈소판 지정헌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아래 빨간 색 글을 카메라로 찍어서
지정헌혈 시 가까운 헌혈의 집을 방문하여
문진 간호사에게 수혈자 등록번호를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A (+)형 남자분만 혈소판 지정헌혈 가능하십니다.
헌혈의 집 방문 전
혈소판 지정헌혈이 가능한 센터인지
온라인으로 확인하신 후
혈소판지정헌혈에 90분 소요 되오니
전자문진 하시고
예약하고 가셔요.
○ 수혈자 등록번호 : 220602-0012
○ 요청 의료기관 : 건국대학교병원(11100435)
○ 환자 혈액형 : A (+)
○ 혈액형 일치여부 : 일치(일치인 경우 동일 혈액형만 지정헌혈 진행가능)
○ 필요 혈액제제 : A-PLT[M]
○ 진행기간 : 2022-06-02 ~ 2022-08-01
★ 헌혈 전 헌혈자 유의사항 및 기타정보를 아래 링크를 통해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지정헌혈 및 헌혈자 유의사항 안내 ◀
☞ https://biss.bloodinfo.net/direct_donation_hos.jsp
▶ 레드커넥트 ◀ 플레이스토어에서 앱 다운 받으셔요.
본인 근처의 헌혈의 집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bloodinfo.net/redconnect.do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 한마음혈액원 홈페이지 ◀
☞ https://www.bloodnet.or.kr
하루 2 분 이상 지정헌혈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 김운용(010-9158-0254)드림
문의 : 김운용(010-9158-0254)드림
[백혈구 성분헌혈을 긴급으로 부탁드립니다]
1. 기준 : 나이 만 17세 이상 만 60세 미만
A (+)형 남자분만 백혈구 성분헌혈 가능하십니다.
체중 50kg 이상
사진 있는 신분증 지참
2. 전자 문진하고 오세요.
▶ 레드커넥트 ◀ 플레이스토어에서 앱 다운 받으셔요.
하단의 "로그인 없이 문진하기" 클릭하시고 전자문진하시기 바랍니다.
3. 절차 : 총 3회 내원
1)사전검사 : 월~금 14시30분까지 서울 건국대학교병원 2층 성분헌혈치료실로 오셔요. 20분 소요. 기록카드 작성. 적합한 경우 개별 통지함.
2)적합통보 받으신 분 : 헌혈 전날 서울 건국대학교병원 9층에 21시에 오셔서 촉진제 맞음. 동의서 작성. 다음 날 9시에 헌혈
3)헌혈 : 서울 건국대학교병원 2층 성분헌혈치료실에서 2시간 소요. 사전검사 받으신 날부터 1주일 안에 헌혈.
하루 3 분까지만 백혈구 성분헌혈 사전검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맛있는 것은?
옛 글을 읽다 보면,
어느 절의 주지 스님이 하신 말씀 가운데,
내가 먹어본 가장 맛있는 것은,
"찬밥에 물 한 그릇을 말아서 먹은 것이다.
그 맛을 이기는 것을 아직까지 못 봤다."
고 적혀 있습니다.
지금 그 맛을 재현하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습니다.
실제 집에서 지은 밥으로 물 한 그릇을 말아서 드셔보셔요,
옛날의 주시 스님이 드시던 그 맛의 밥이 아니라는 것이죠,
왜 그러느냐고요?
여기서 다루는 이야기는
물과 밥의 문제입니다.
물 맛이 좋아야 하고,
밥도 맛있어야 합니다.
물은 오행상으로는 수에 해당하고요,
밥은 오행상 토에 해당합니다.
즉 단 맛의 식품이죠.
밥에 물을 말게되면,
토극수의 원리로 토의 본질상의 성질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밥의 맛은 더 달게 됩니다.
그래서 단 맛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밥 한 그릇에 물을 말아서 먹을 때,
느끼는 그 맛이 참으로 좋은 것이죠.
단 맛을 좋아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맛이 별로지만요,
맛 있는 밥을 짓기 위해서,
실제 그 당시의 밥을 짓는 방식을 돌아봐야 합니다.
-----------------------------------------------
쌀을 바로 정미해서는,
정성껏 산에서 내려오는
깨끗한 물로 씻어서,
가마솥에 나무를 때면서 화력
좋은 불로 밥을 짓습니다.
밥이 뜸이 잘 들면,
나무통에 밥을 담아서 고실고실한 상태로
그대로 밥김이 날아가도록 식힙니다.
밥이 식으면 그릇에 담고,
산에서 내려오는 맑은 물을 한 그릇 담아서 찬으로 삼아서
말아서 먹게 되는 것이죠.
-----------------------------------------------------
지금 산에서 내려오는 맑은 물을 찾기가 어렵잖아요.
맑은 물을 마신다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물 맛을 결정하는 것은 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광물질-오행상 금)이죠.
금생수의 원리로 광물질이 소량 함유된 맑은 물이 맛있는 물이죠.
미인이 많이 나는 곳과 장수하는 분들이 많은 곳은 물이 좋은 곳이라고
(맛있는 곳) 하잖아요.
다음 세대들이
맑은 물에 찬밥 한 그릇을
마음껏 생각나면
먹을 수 있도록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는
깊은 뜻이 담긴
주지스님의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가장 맛있는 것은
자기 입맛에 맞는 음식이 가장 맛있는 것입니다.
입맛으로 자기에게 필요한 음식을
찾도록 되어 있어요.
그래서 매일 입맛이 다를 수 있는 것이고요,
오늘 맛 없다고 계속 안 필요한 것이 아니고요,
내 몸에 필요할 때는 다시 맛있게 됩니다.
내 입맛에 맛있는 것은
내 몸에 꼭 필요한 음식이기에
맛있는 거죠.
내 몸에 필요하지 않은 음식은
맛이 없어요,
그래서 안 먹는 거죠.
아이는 맛이 없는 음식은
뱉어버리죠.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본래 그런거죠.
맛 없는 음식은 먹을 필요가 없는 것이니
서로 맛없는 음식 먹으라고 권할 필요도 없는 것이죠.
편식하지 말라고 골고루 먹으라는 말대신
"입맛에 맞을 지 모르겠어요, 입맛에 맞는 음식을 골라 드셔요"라는 말을
써야 더 현명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옆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4/65 대조선의 역사 1._동국조선의_위치-1.pdf 바로가기
2002년11월6일 - 2017년9월28일
김운용(010-9158-0254) 드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에서...